일반적으로 python 사용자들이 처음 python을 설치하고 난뒤
내가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에 맞게 여러개의 가상환경을 생성하여
코딩을 하게될텐데,
그런데, 코딩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디터인 주피터 노트북에서 내가 생성해놓은
여러가지의 가상환경을 선택하여 코딩을 하고자 할 때 아래의 방법으로 셋팅하면됩니다.
일반적으로 python이 깔려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환경을 base 라고 했을 때,
base 하위에, 내가 생성한 가상환경이 venv1, venv2 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
먼저 jupyter notebook은 base 파이선 환경에서 pip install jupyter 명령을 사용해 설치합니다.
(주피터 노트북 설치 방법은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 참조하세요)
그 후, 각각의 가상 환경을 activate 한 뒤
해당 가상환경에서 ipykernel을 설치합니다.
예를 들어, venv1에서 설치할 경우
pip install ipykernel
이후에 설치한 ipykernel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가상 환경의 이름을 주피터 노트북의 커널로 추가한다.
python -m ipykernel install --user --name=venv1
이제 base 환경에서 jupyter notebook을 실행 한뒤, 새로운 노트북을 열 때 보면
내가 추가한 가상환경 이름이 추가되어 있어 원하는 가상환경으로 노트북을 열어
코딩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
마지막으로 설치된 가상환경을 jupyter notebook에서 삭제하실 때에는
아래와 같이 명령을 입력하시면 됩니다.
jupyter kernelspec uninstall venv1